본문 바로가기
육아 정책 소식

가족돌봄 아동·청년을 위한 '자기돌봄비' 지원 및 돌봄서비스 강화

by 행복부부 탐험가 2025. 3. 4.

2025년부터 시행되는 가족돌봄 청년 지원 정책의 주요 내용과 기대 효과

 

1. '자기돌봄비' 지원이란?

정부는 2025년부터 가족돌봄을 책임지는 아동·청년을 위해 '자기돌봄비'를 지원하는 정책을 시행합니다. 이 정책은 조부모, 부모 또는 형제·자매를 돌보느라 개인적인 성장을 위한 기회가 제한된 청소년과 청년들에게 경제적 지원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특히, 학업과 취업 준비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이를 통해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2. 지원 대상 및 신청 방법

▶ 지원 대상

  • 조부모, 부모, 형제·자매 등 가족을 지속적으로 돌보고 있는 아동·청년
  •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돌봄 부담을 홀로 떠안고 있는 경우
  • 청소년(만 13세~18세) 및 청년(만 19세~34세) 중 지원 기준 충족자

▶ 신청 방법

자기돌봄비 신청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진행됩니다.

  • 온라인 신청: 복지로(www.bokjiro.go.kr) 및 정부24(www.gov.kr)를 통해 접수
  • 오프라인 신청: 주민센터 및 시·군·구청 복지 담당 부서 방문 접수
  • 신청 시 소득 증빙 서류, 가족 돌봄 관련 증빙 자료 등이 필요

3. 돌봄서비스 지원 강화

정부는 가족돌봄 아동·청년을 위한 직접적인 금전 지원뿐만 아니라 돌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 주요 돌봄 지원 서비스

  • 심리 상담 지원: 돌봄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상담 서비스 제공
  • 학습 및 취업 지원: 온라인 강의 지원, 취업 컨설팅 제공
  • 돌봄 지원 인력 배치: 일정 시간 동안 전문 돌봄 인력이 가족을 대신 케어

4. 정책 기대 효과

'자기돌봄비' 지원 및 돌봄서비스 강화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가족돌봄 청년의 부담 완화
  • 학업 및 취업 준비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 조성
  • 심리적 지원을 통해 정신 건강 증진
  • 사회적 안전망 확충으로 복지 사각지대 해소

5. 맺음말

이번 '자기돌봄비' 지원 정책은 가족을 돌보며 희생하는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중요한 복지 제도입니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더불어 지역사회와 민간의 협력도 중요합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정책 개선과 지원 확대를 통해 가족돌봄 아동·청년들이 희망을 가지고 자신의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